2018년 6월 KEERA 정기모임 안내
안녕하세요. 2018년도 6월 다독학회 정기모임 안내드립니다. <안 내> 1. 일시: 6월 16일 (토) 14:00 2. 발표주제: 초등학생 낭독체 발화에서 유창도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초분절적 요소들: 휴지의 빈도와 길이, 발화속도, 음도(pitch)범위를 중심으로 3. 발표자: 박혜숙 발표자 약력 가톨릭대학 영어영문학사(1989) WASHINGTON UNIVERSITY (SOCIAL WORK) IN SAINT LOUIS 대학원 수학(1990) 연세대학 교육 대학원 조기영어교육 재학 중 (2016-18 년 현재) 경력 미국 체류(1990-1997) GLOBAL VILLAGE ENGLISH SCHOOL (지구마을어학원) 경영(1998-2006) 광명시 학원연합회 법무이사(2004-2005) 광명시민 신문 이사(2003-2005) 광명 하안 동 가림 중학교 학부모위원(2005) 광명교육연대 교육이사(2003-2006) 군포시 근로자 복지관 성인영어회화 담당(2007-2009) 개인과외(고양국제고, 이화외고, 명덕외고, 한일 고, 상산고등 다수 합격생 배출)(2009-2017) 원당 행복 학습 관 엄마 표 영어 담당 강사(2014-2018 현재) 투판즈 출판사 기획 초등학생 문법 학습법 전국 투워 강의(광주, 분당, 강남, 영통, 부산, 대구, 울산, 대전)(2017년 11월) 연세대 교육대학원 89대 원우회장(2018년 현재) 더불어 민주당 고양시 시장후보 교육특위 위원 임명(2018년 5월 26일) 수상 및 자격증 광명교육청교육장 표창장 (제 1980호)(2005. 12월) 전북 대학교 테솔 자격증(2013) 4. 발표내용 본 연구는 초등학생 낭독체 발화에서 초분절적 요소 ─ 휴지의 빈도와 길이, 발화 속도, 음도의 범위 ─ 중 어느 요소가 얼마만큼 유창성 등급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고자 하였다. 본연구는 2단계의 연구로 설계되고 시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전국 8개 지역 (서울, 경기, 충청, 강원, 제주, 외국인) 초등, 중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등급화 되지 않은 영어 발화 음성 데이터(Korean-Spoken English Corpus)에서 초등학생 (남 56명, 여 56명)의 문장 낭독체 발화 음성자료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음성학적 현상이 포함된 36개의 문장을 116명의 초등학생들이 읽기 발화한 총 3069개의 음성 데이터가 5인의 (내국인 3, 영어 원어민 2) 평가자에 의해 5등급의 유창성 등급이 평가되었고, 음성분석 프로그램 Praat을 사용한 물리적 분석을 위하여 500개의 데이터가 무작위 추출 되었다. 이후 연구 절차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총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 유창성 등급과 휴지 빈도 및 길이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3) 유창성 등급과 발화속도(speech rate)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 유창성 등급과 음도(pitch)범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5) 유창성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초분절적 요소를 찾기 위한 Praat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평가와 유창성 지각의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상평가인 총체적 평가는 평가의 하위요소별로 평가하는 분석적 평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둘째, 분석적 평가의 하위 요소 중 초분절 요소와의 상관관계 중 휴지빈도와 길이, 발화속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유창성 등급이 높을수록 휴지빈도가 줄고, 휴지시간과 발화속도가 줄어든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음도범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찾기 어려웠다. 세째, 회기분석의 결과로 유창성을 등급을 결정하는데 가장 영향을 주는 변인은 발화속도와 휴지 빈도였다. 이 변인들은 43.2%, 32.8%로 유창성 등급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단일 변인으로 상당히 높은 설명력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첫째, 초등학생 읽기 유창성 향상을 위해서 읽기 속도와 적절한 휴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초등학생에게 휴지 즉 끊어 읽기 지도의 필요성이다. 셋째, 초등학교 영어 발음지고와 읽기 지도에 있어 초분절음의 지도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초등학생 읽기 유창성을 위해서 현장교사들은 발화속도를 높이는 방향의 수업을 계획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단어 자동지각과 관련된 활동을 추천한다. 둘째, 초등학생의 발음 지도에 있어 현장교사와 전문가들의 초분절음 지도의 인식변화와 현장 실천을 제언한다. 분절음의 지도와 더불어 유창성 지각에 절대적 영향을 가지는 초분절음 지도는 ‘문화 간 화자’(intercultural speaker)의 ‘이해도’(intelligibility)의 상승과 ‘의사소통’이라는 교육부의 영어교육목표를 현장에 실현 시키는 필수적인 단계로 생각한다. 5. 장소: 연세대학교 외솔관 3층 326-1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